초등 고학년만 되어도 글쓰기 활동들이 많아진다. 여기서부터 부담을 느끼는 학생들이 많은데 중, 고등때 하는 수행평가는 글쓰기를 통해 능력을 평가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라 많은 학생들이 어려움을 토로한다. 독서량이 많은 학생들도 글쓰기를 어렵고 부담스러워하는 경우가 많다. 어떻게 하면 글쓰기를 쉽게 잘할 수 있을까? 지금부터 글쓰기 실력을 향상하는 방법 중 하나인 필사에 대해 알아보겠다.
필사란
글쓰기 실력을 향상하기 위해 많은 작가들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필사가 있다. 다른 작가의 글을 손으로 직접 베껴 쓰는 것이다. 펜과 종이를 사용하여 글을 따라 쓰면서 글의 저자가 사용한 단어와 문구에 집중하고 작가의 글쓰기 스타일과 기법을 깊이 이해하는 과정이다.
필사의 장점
글쓰기 기술 개발
숙련된 작가의 작품을 따라 쓰면서 그 작가의 글쓰기 스타일과 기법에 대한 감각을 키울 수 있다. 이러한 요소 중 일부를 자신의 글에 적용하여=면 자신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어휘와 문법 향상
양질의 글을 따라 쓰면서 자신의 어휘와 문법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단어 이외에 어휘의 풀을 늘려갈 수 있고 양질의 글을 많이 보면서 문장 구성 방법이나 표현의 방식을 배울 수 있다. 또한 바르게 글을 쓰는 노력을 하면 필체도 가다듬을 수 있다.
글쓰기 체력 향상
손으로 책을 베껴 쓰는 것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노력이 드는 힘든 과정이다. 이를 반복하면서 글쓰기 체력을 키울 수 있다. 매일 글을 쓰는 시간을 늘려야 할 경우에 효과적인 것이 바로 필사이다.
제대로 필사하기 위해서 유의할 점
필사는 너무 오랜 시간 하지 않도록 한다. 하루 10~20분 정도 쓰며, 관심 있는 소재 중 양질의 글 중에서 5 문장 정도를 골라 쓰는 것이 적당하다. 더 많이 하면 손만 아플 수 있고 집중력이 떨어진다. 각자의 수준을 고려해서 지루하거나 싫증 나지 않을 정도로 진행한다.
일부의 사람들에게는 필사의 과정이 표절처럼 느껴지거나 독창적이지 않다고도 느낄 수 있다. 그러므로 맹목적으로 따라 쓰기보다는 작품을 연구하고 배우기 위한 것임을 기억하면서 쓰도록 한다.
단순히 따라 쓰는 것이 아니라 내용을 생각해 보면서 집중해서 필사해야 한다. 문장의 띄어쓰기, 문장부호등까지 정확하게 따라 쓰고 다시 내용을 곱씹어 보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필사의 활용
논리력을 기르고 싶다면 비문학 필사
비판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방식을 기르고 싶다면 비문학 작품을 필사하면 도움이 된다. 철학서나 실용서, 과학서를 필사하면서 해당 내용에 대해 배우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신문기사나 칼럼 등은 다양한 관점과 생각을 표현하는 글쓰기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좋은 글감이다.
외국어 교육에도 유용함
제2외국어를 배울 때에도 원서로 된 책을 베껴 쓰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아무리 인풋이 많아도 처음부터 에세이를 쓸 정도로 한 번에 글쓰기 실력이 오르지 않는다. 쉬운 원서 책을 따라 쓰면서 단어를 읽히고, 그 단어의 적절한 이용방법과 문장의 형식을 알 수 있다. 처음에는 동화책부터 따라 써보고 점점 좋은 원서의 일부분을 따라 쓰면서 공부하면 수월하게 외국어 글쓰기 실력을 향상할 수 있다.
자신만의 글쓰기로 확대
어느 정도 필사가 익숙해지면 단어를 바꾸어가며 써본다던가 나만의 문장으로 구성을 바꾸어 써본다. 원문의 형식은 유지하면서 소재와 대상을 바꿔서 써보는 방법으로 자신만의 글쓰기 단계에 도전해 볼 수 있다.
필사와 함께 독서하는 습관이 반드시 필요하다. 다양한 소재와 분야의 좋은 글을 읽으면서 좋은 구절을 따라 써보고 내가 써본 부분을 분석하면서 글쓰기 실력은 물론 비판적 사고력과 논리력이 길러질 수 있다. 독서와 글쓰기는 하루아침에 잘할 수가 없다. 초등시절부터 독서와 글쓰기를 매일매일 연습해 나간다면 중고등 가서 글쓰기를 부담스러워하지 않고 오히려 자신감을 보이는 아이로 성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교 4학년 수학 나눗셈을 점검해야 합니다 (0) | 2023.03.02 |
---|---|
초등학교 3학년 나눗셈 이것 만은 꼭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0) | 2023.03.01 |
일론 머스크(Elon Musk)의 공부법과 자녀교육법 (0) | 2023.02.27 |
교과서 공부 SQ3R 방법으로 해보세요 (0) | 2023.02.27 |
공부 잘하기 위한 방법 : 남학생과 여학생의 방법은 다르다 (0) | 2023.02.26 |
댓글